본문 바로가기
주도주 & 시황 브리핑

2025년 반도체 업황 전망: 메모리 반등 지속될까? 관세 리스크와 실적 변수 총정리

by 재테크노트 2025. 4. 21.
반응형

2025년 4월, 글로벌 반도체 업종은 다시 한 번 거센 변동성의 중심에 섰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은 완만한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엔비디아를 포함한 주요 AI 반도체 기업들이 미·중 갈등 속 수출 규제 강화라는 벽에 부딪히며 이익 전망 하향 우려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본 글에서는 최근 발표된 ASML, TSMC, 인텔 등의 실적 및 전망, 그리고 미국 관세 리스크가 반도체 수요에 미치는 영향, 메모리 현물가 추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2025년 반도체 산업의 중기 전망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반응형

1. 반도체 업황 전반: DXI 지수는 상승, SOX는 하락

  • DXI(메모리 현물지수): 주간 +1.8% 상승
  • SOX(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4.0% 하락
  • 삼성전자: +0.1%, SK하이닉스: -3.3%, 마이크론: -1.1%
  • 엔비디아: -8.6%, AMD: -6.4%, TSMC: -4.4%

이처럼 주요 반도체 지표는 엇갈리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메모리 단가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AI 반도체 대장주들의 급락이 업황에 대한 불안감을 확대시키고 있습니다.


2. ASML·TSMC 실적 리뷰: 실적은 양호하나 관세는 불안 요인

✅ ASML

  • 1분기 매출: 77.4억 유로 (전년 동기 대비 +46%)
  • EPS: 6.0 유로 (컨센서스 5.7 유로 상회)
  • 신규 수주: 33.9억 유로 (컨센서스 44.7억 유로 대비 하회)
  • 연간 매출 가이던스: 하단 300억 유로 가능성 언급

EUV 장비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고객사의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해 수주가 위축되고 있다는 점은 부정적인 요인입니다. 현재 ASML의 주가는 고점 대비 45% 가까이 하락한 상태로, 어느 정도 리스크를 선반영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2025년 반도체 가격 추이 DXI 지수 그래프
2025년 반도체 가격 추이 DXI 지수 그래프

 

 

✅ TSMC

  • 1분기 매출: 255.38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35%)
  • 영업이익률(OPM): 48.5% (전년 대비 +6.5%p)
  • 2분기 가이던스: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긍정적 수치 제시
  • 장기 가이던스: 2029년까지 연평균 +20% 매출 성장 전망

관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고객 수요는 견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SMC는 2분기에도 높은 실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성장성은 유효하나, 시장에서는 여전히 미·중 리스크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습니다.

 

ASML TSMC 실적 요약표
ASML TSMC 실적 요약표


3. AI 반도체, 미·중 무역갈등의 직격탄 맞다

최근 인텔은 중국 고객사들에게 AI 반도체 관련 규제 강화를 통보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는 D램 대역폭 1,400GB/s, I/O 대역폭 1,100GB/s를 초과하는 제품은 미국의 수출 통제 대상이라는 내용입니다.

🔥 주요 영향

  • HBM2 이상 탑재된 대부분 AI 반도체: 수출 규제 대상 포함
  • 엔비디아: 매출 차질 55억 달러 (2분기 영업이익의 약 20%)
  • AMD: 매출 차질 8억 달러 (2분기 영업이익의 약 46%)

이로 인해 반도체 섹터 전반의 이익 전망은 하향 조정될 것으로 예상되며, AI 붐이 이끄는 기대감이 정치적 변수로 인해 제약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4. 메모리 가격은 회복세를 이어가는 중

🧪 DRAM & NAND 현물가 (4월 18일 기준)

구분가격(USD)주간 변화월간 변화

DDR5 16Gb 5.40 +1.7% +5.6%
DDR4 16Gb 4.04 +1.5% +8.5%
NAND MLC 64Gb 4.75 +1.1% +5.3%
NAND MLC 256Gb 10.29 +1.0% +3.6%
DXI 지수 55,977 +1.8% +10.3%

DRAM과 NAND 가격은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DDR4 및 DDR5 고용량 제품군을 중심으로 수요 회복이 관측되고 있습니다.

 

DRAM NAND 가격 상승 흐름
DRAM NAND 가격 상승 흐름


5. 향후 변수: 관세 협상과 빅테크 실적

트럼프 발언 요약 (4월 17일)

  • 중국과의 관세 협상 타임라인: “3~4주 내 마무리 희망”
  • 그러나 중국 측의 강경한 입장으로 인해 협상 가능성은 불확실

관세가 장기화될 경우 미국 내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이는 IT 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반도체 전반의 수요 둔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간 실적 이벤트

  • 인텔, 테슬라, 알파벳 등 주요 빅테크의 실적 발표 예정
  • 이들 기업의 실적 가이던스와 AI 투자 계획이 반도체 업종의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6. 반도체 업종 투자전략: 낙관과 경계의 균형

포인트 낙관 요소 리스크 요소
메모리 업황 현물가 상승세 지속, 공급 조절 효과 투자 확대 없을 시 가격 반등 한계
AI 반도체 중장기 수요 확장 지속 미중 수출 규제로 단기 매출 타격
장비주 리소그래피 중요도 상승 수주 부진,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
고객사 수요 TSMC 중심으로 견조 미국 소비 위축 시 역풍 우려

이처럼 낙관적 전망과 불확실성이 혼재된 국면에서는 선택적 접근이 필요하며, 밸류에이션과 펀더멘털을 기준으로 종목을 구분해 투자하는 전략이 요구됩니다.


7. 결론: “메모리는 회복, AI는 제동”

DXI 지수와 메모리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업체의 실적 개선 기대감은 유효합니다. 반면, AI 반도체와 관련된 수출 규제는 단기적으로 실적과 밸류에이션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ASML, TSMC와 같은 글로벌 반도체 장비 및 파운드리 업체들은 장기적인 성장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단기적인 관세 리스크를 조정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