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AVER의 수익 구조
NAVER는 주로 내수 중심의 플랫폼 기업으로,
매출의 상당 부분이 원화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원화 약세가
NAVER의 직접적인 외화 손익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다만, 글로벌 사업(특히 일본 라인 사업 및 웹툰 플랫폼 등)에서
외화 결제 매출이 일부 존재하지만,
전체 매출 비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크지 않은 편입니다.
환율 상승의 영향
환율 상승(원화 약세)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환차손 위험을 발생시킵니다.
하지만 NAVER는 안정적인 내수 기반과
높은 성장성을 보유하고 있어,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종목으로 선호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환율 변동성이 심한 시기에는
NAVER와 같은 대형 성장주가
투자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플랫폼 기업의 방어적 성격
NAVER는 검색광고, 쇼핑, 콘텐츠 구독 등
필수적이고 반복적인 소비를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플랫폼 기업으로,
경제 상황에 따라 비교적 수익 변동성이 낮은 편입니다.
이는 환율 상승으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들이 더 불안정한 종목을 회피하고
안정적인 NAVER로 자금을
옮길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밸류에이션과 성장성
NAVER는 최근 주가 하락으로 인해
글로벌 경쟁사 대비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아진 상태입니다.
환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종목에 투자하려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는 NAVER가
여전히 유망한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환율 상승에도 안정적으로 평가되는 이유
- AI와 기술 고도화로 인한 성장성
- NAVER는 AI 기술을 도입하여 기존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장기 성장성을 제공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 주주환원 강화
-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등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은 환율 상승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상쇄하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 글로벌 확장 전략
- NAVER는 일본, 동남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입니다.
- 글로벌 사업 비중이 확대되면, 외화 매출 증가로 환율 상승에 대한 자연적 헤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한국 시장 내 대체 투자처 부족
- 한국 내에서 NAVER와 같은 성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갖춘 종목이 많지 않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환율 상승 상황에서도 NAVER를 선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응형
'주도주 & 시황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금리 인하 가능성 (5) | 2024.11.17 |
---|---|
지급준비금과 순유동성 (3) | 2024.11.16 |
241115 금요일 삼성전자 반등, NAVER 수급 지속 (7) | 2024.11.15 |
241114 오늘도 NAVER (4) | 2024.11.14 |
241112 NAVER 매매일지, 오늘은 서비스업 (5) | 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