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클로봇, 가정용 서비스로봇 시장 본격 진출
지능형 로봇 서비스 전문기업 클로봇(466100) 이 가정용 서비스로봇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습니다. 2025년 4월 28일, 클로봇은 SK 로보틱스 브랜드 '나무엑스(NAMUHX)'에 자사의 로봇 통합관제시스템을 공급했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나무엑스'는 자율주행 기반 스마트 웰니스로봇으로, 공기청정, 바이탈사인 체크, 보이스컨트롤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향후 펫케어 기능까지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클로봇은 기존 상업·산업용 시장을 넘어, 가정용 시장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사업 외연을 넓히게 되었습니다.
2. '나무엑스'와 통합관제시스템(CROMS) 소개
🛋️ '나무엑스'의 주요 특징
- 자율주행 기술 기반
- 공기질 관리: 실내 공기질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정화
- 바이탈사인 체크: 건강 지표 측정 기능 탑재
- 보이스컨트롤: 음성 명령을 통한 제어 가능
- 확장성: 펫케어, 헬스케어 기능 추가 예정
🧳 클로봇 'CROMS' 통합관제시스템 개요
클로봇이 제공한 통합관제시스템은 이기종 로봇 통합 솔루션인 '크롬스(CROMS)'를 기반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로봇 상태/고장 정보 수집
- 원격 A/S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지원
- 수십만 대 로봇 동시 연동 가능 (대규모 확장성)
-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연동: 공간 내 공기질을 히트맵 형태로 시각화, 다양한 통합 기능 제공
즉, 단순 모니터링을 넘어 실시간 데이터 기반 스마트 환경 관리가 가능한 점이 차별화된 강점입니다.
3. 클로봇, 기존 사업 성과와 신뢰 기반
클로봇은 이미 상업 및 산업용 시설에서 120곳 이상의 고객사에 로봇 솔루션을 공급하며 신뢰를 쌓아왔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주요 성과를 이룬 바 있습니다.
- 인천공항 디지털트윈 관제시스템 구축: 기술성 평가 1위 기록
- 다양한 로봇 통합 관제 및 군집 제어 프로젝트 수행
이번 '나무엑스' 프로젝트는 클로봇이 가진 기술력과 사업 수행 능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박상균 클로봇 서비스로봇사업부장(상무)는 "SK의 로보틱스 브랜드 '나무엑스'에 든든한 소프트웨어 파트너로서 이번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로봇 소프트웨어 분야의 선두 공급자(Top provider) 입지를 확고히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4. 로봇 통합관제 시스템 시장 성장성
로봇 통합관제 시스템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특히, 가정용 서비스로봇 시장에서도 다음과 같은 트렌드가 관찰되고 있습니다.
- 고령화 사회 진입: 웰니스 및 헬스케어 로봇 수요 증가
- 스마트홈 확산: 실내 공기질, 에너지,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 확대
- 펫팸족 증가: 반려동물 케어 로봇 수요 증가
이에 따라, 클로봇의 'CROMS' 솔루션은 미래형 라이프케어 시장에서도 폭넓게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5. 클로봇 주가 전망 및 투자 포인트
클로봇(466100)은 이번 SK 로보틱스 '나무엑스' 공급을 통해 가정용 로봇 시장 개척이라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했습니다.
📈 투자 포인트 요약
- 수익 다변화 기대: 산업용 -> 가정용 시장 진출
- 스마트홈/라이프케어 시장 성장 수혜
- SK그룹 협업에 따른 신뢰도 상승
- 향후 수십만 대 로봇 연동 수주 가능성
현재 클로봇은 디지털트윈, 군집 관제, 통합 모니터링 등 로봇+스마트시티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로봇 통합 인프라 리더로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아직 가정용 시장은 초기 단계이므로, 초기 수익화 여부, 글로벌 진출 전략 등도 함께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6. 마무리: 클로봇, 로봇 소프트웨어 시장 선두주자로 도약
이번 SK 로보틱스 '나무엑스' 프로젝트는 단순한 납품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클로봇은 'CROMS'를 통해 가정, 산업, 공공 모든 영역에서 로봇 통합 관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증명했습니다.
앞으로 스마트홈, 스마트시티, 라이프케어 시장이 본격 성장하는 국면에서, 클로봇은 로봇 소프트웨어 시장의 Top Provider로 부상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향후 추가 수주 및 신사업 진출 뉴스에도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 할 시점입니다.
'주도주 & 시황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비벨록스 상한가 이유 총정리: SKT 유심 무상교체 수혜 기대 (1) | 2025.04.28 |
---|---|
K-조선, 美 관세 협상 핵심 부상…협력 기대와 주가 전망 총정리 (0) | 2025.04.28 |
에이비엘바이오,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혁신' IGF1R 단일항체 유라시아 특허 획득 및 Grabody-B 플랫폼 가치 분석 (0) | 2025.04.28 |
테슬라, 자율주행 규제 완화에 10% 폭등! 향후 주가 전망은? (2) | 2025.04.27 |
큐라티스 주가 72% 급등, 먹는 비만약 시장 기대감과 백신 플랫폼 경쟁력 분석 (1)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