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도주 & 시황 브리핑

웹툰주 급등 이유 - 이재명 “웹툰 세제혜택 확대”

by 재테크노트 2025. 4. 18.
반응형

이재명 “웹툰 세제 혜택 추진”…넷플릭스 실적 훈풍까지, 웹툰 관련주 수혜 분석


지난 4월 17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웹툰 산업에 대한 세제 혜택 추진과 불법 유통 대응을 공식화하며 웹툰 관련 종목들에 강한 상승 모멘텀이 나타났습니다. 같은 날 글로벌 OTT 플랫폼인 넷플릭스가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한 것도 콘텐츠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동안 게임, 영화 중심의 콘텐츠 정책이 주를 이뤘다면, 이제는 웹툰이라는 고유 IP 산업이 정치권에서도 정책적 우선순위로 격상되고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분들께서 주목해보셔야 할 시점입니다.

 

키다리스튜디오 주가


1. 이재명 대표의 발언 요지와 정책 방향

이 대표는 대전 유성구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열린 현장 간담회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습니다.

“웹툰 산업은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앞서 있는 콘텐츠 분야입니다. 이에 걸맞은 세제 지원을 포함해 산업 성장을 뒷받침할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습니다. 아울러, 해외 불법 사이트를 통한 유통 차단과 법적 대응도 강화하겠습니다.”

이 발언은 단순한 정치적 언급을 넘어, 실제 국회 입법 또는 예산 편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정책 시그널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2. 넷플릭스 실적 발표와 콘텐츠 산업 전반의 호재

같은 날 넷플릭스는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다음과 같은 성과를 공개했습니다.

  • 매출: 105억 4,300만 달러 (전년 대비 +12.5%)
  • 주당순이익(EPS): 6.61달러 (전년 대비 +25.2%)

이는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수치로,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강하다는 점을 입증한 결과입니다.

넷플릭스는 한국 웹툰 원작 콘텐츠인 ‘지옥’, ‘스위트홈’, ‘마스크걸’ 등의 흥행에 힘입어 웹툰 기반 IP 확보를 더욱 확대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습니다.


미스터블루

 

3. 웹툰 관련 국내 수혜주 정리

이와 같은 글로벌 수요와 정책적 지원이 동시에 부각되며, 아래와 같은 국내 웹툰 관련 종목들이 수혜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 키다리스튜디오 (020120)

  • 주요 플랫폼: 레진코믹스, 봄툰
  • 특징: 다국어 웹툰 운영 / 글로벌 유통 구조 확보
  • 전망: OTT 및 해외 플랫폼과의 협업 확대 가능성

📌 와이랩 (432430)

  • 주요 IP: 부활남, 슈퍼스트링 유니버스
  • 특징: 자체 유니버스 보유 / 드라마 제작 확장성
  • 전망: 글로벌 콘텐츠 제작사와의 장기 계약 기대

📌 미스터블루 (207760)

  • 플랫폼: 웹툰+웹소설 통합 운영
  • 특징: IP 자산 풍부 / 카카오·리디와 협업 가능성
  • 전망: 다양한 포맷으로 콘텐츠 전환 기대

📌 콘텐트리중앙 (036420)

  • 주요 자회사: JTBC스튜디오, 스튜디오피닉스
  • 특징: 웹툰 기반 드라마 제작 확대
  • 전망: 넷플릭스와의 협업 시 추가 모멘텀 확보

핑거스토리 주가

 

4. 정책 수혜 구조 정리

구분기대 효과
세제 혜택 확대 콘텐츠 제작비 절감 → 수익성 개선
불법사이트 대응 정식 플랫폼 유입 증가 → 매출 상승
정책적 우선순위 확보 안정적 투자환경 형성
OTT 협업 확대 웹툰 IP 수익화 다각화 가능

5. 향후 투자 전략 제언

  • 단기적으로는 키다리스튜디오, 와이랩 등 급등 종목의 변동성에 주의하면서, 실적과 계약 모멘텀 중심의 보수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 중기적으로는 웹툰 IP의 콘텐츠화 비율이 높은 기업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장기적으로는 정책화가 실질적으로 국회 입법이나 정부 예산으로 연결되는지를 체크해야 합니다.

✅ 맺음말

웹툰 산업은 더 이상 ‘서브 콘텐츠’가 아닙니다. 이재명 대표의 정책 발언과 넷플릭스의 실적이 보여주듯, 웹툰은 정책적·산업적·글로벌 수요가 모두 집중되는 핵심 분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K웹툰의 수출 경쟁력은 K팝·K드라마 못지않게 주목받고 있는 만큼, 관련 종목에 대한 관심과 분석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관련 법안 추진 상황과 글로벌 콘텐츠사의 투자 흐름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며 선제적 투자 전략을 세워가시길 권해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