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도주 분석

엔케리 트레이드 청산

by 수급쫌쫌이 2024. 8. 6.
반응형

 

 

지난 31일 일본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글로벌 증시가 폭격을 맞자

BOJ(일본은행)의 인상 시기가 부적절했다는 비난이 거셉니다.

미국의 고용지표 등 경기 시그널을 확인하지 않고 금리를 급작스레 높인 것은 내부의 정치 압력 탓이란 해석이 나옵니다.

6일 블룸버그통신은 이코노미스트들의 견해를 종합해 BOJ가 경제 데이터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며

추가 금리인상 계획이 뒤로 늦춰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습다.

 

 

 

엔캐리트레이드는 엔화 + 케리트레이드라는 용어의 합성어입니다.

 

캐리트레이드란,

 

원래 뜻은 보유한 주식을 담보로 자금을 차입한 후

보다 수익성 높은 주식에 투자하여 차입비용을 상환하고도 추가 수익을 실현하는 투자행위를 의미했지만,

 

지금은 저금리로 자금을 차입상품이나 주식 등 고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자산에 투자하는 기법을 지칭합니다.

 

 

 

일본은 거의 제로 금리정책을 펼치고 있었습니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가가 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큰 폭으로 금리를 인상할 때에도

마이너스 금리정책을 유지해왔다가 최근에 와서야 단기금리를 인상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글로벌 투자자들이 마이너스 금리였던 엔화를 빌려서

고수익을 얻을 수 있는 미국 등 다른 나라의 자산들에 투자하고 있었는데요.

 

엔화가 강세가 되면서 예전과 같은 수익을 얻을 수 없고 환손실을 부담할 위험에 처하자

엔화로 투자했던 자산을 팔고 자금을 회수했던 것입니다.

 

이를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라고 합니다. 

 

일부 뉴스에 따르면 엔화 강세로 해외 자금이 일본으로 회귀한 액수가 약 20조 달러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2008년 금융 위기 당시에도 엔케리 트레이드 청산이 대규모로 일어나면서 자산 가격 급락을 초래했습니다.

 

 

 

 

 

장점으로는 시장의 자연스러운 조정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유동성 공급으로 과열된 시장에서 부풀려진 자산 버블이 해소됩니다. 

엔화의 가치가 올라가 일본 경제에 단기적인 긍적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산 가격의 급격한 하락과 환율의 큰 변동은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해치고, 공포심을 가져옵니다.

대량 매도에 따른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반응형

'주도주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드캣바운스  (1) 2024.08.06
코스닥 상대적 강세 이유  (5) 2024.08.06
HL만도  (0) 2024.08.06
미국 고용시장 악화  (1) 2024.08.02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2) 2024.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