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도주 & 시황 브리핑

한전기술, 체코 원전 수주와 SMR 수익성 기대감…2025년 주가 전망 분석

by 재테크노트 2025. 4. 21.
반응형

 

1. 한전기술, 다시 원전 테마의 중심으로

2025년 4월, 한전기술(052690)은 체코 두코바니 원전 5·6호기 수주 기대와 함께 글로벌 소형모듈원자로(SMR) 시장 진입 가시화로 투자자들의 이목을 다시 끌고 있습니다. 특히 1조원대 수주 예상UAE·사우디 등 중동국가로의 확장 기대감, 국내 SMR 개발 본격화는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전기술은 한전(한국전력공사) 산하의 설계 전문기업으로, 원자력발전소 설계뿐 아니라 에너지신사업, 해상풍력, 수소·암모니아 발전까지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5년 기준 시가총액은 약 2.4조원, 외국인 지분율은 **10%**입니다.

 

한전기술 주가


2. 체코·UAE·사우디 원전 수주 확대…글로벌 수출 본격화

2.1 체코 두코바니 원전 수주 규모 1조 초중반 전망

2023년부터 체코 정부는 두코바니 5·6호기 원전 건설을 추진해왔으며, 한국수력원자력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어 있습니다. 본계약 체결 시 한전기술은 전체 사업의 약 0.6~0.7% 수준의 설계 계약을 수주하게 되며, 1조원대 초중반 규모가 유력시됩니다. 이는 한전기술의 연간 매출(2024년 약 5,534억 원)의 약 20%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신규 실적 성장의 핵심 재료입니다.

2.2 UAE 원전 5·6호기 가능성 부각

한전컨소시엄이 건설한 UAE 바라카 원전 1~4호기(5,668MW)는 성공적으로 상업운전에 들어갔으며, UAE는 향후 2050 에너지 전략에 따라 원전 비중을 6%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추가 5·6호기 발주 가능성이 높아졌고, 바라카 프로젝트 성공 이력이 있는 한전기술이 유력 수혜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3 사우디, 미국과 원전 협력...한국기업에 기회

사우디는 Vision 2030 정책에 따라 1.4GW급 원전 2기 건설을 추진 중이며, 미국과의 원자력 협력 사전협약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사우디가 중국 대신 미국 및 동맹국 기술 도입을 선호할 경우, 한국형 원전 모델(APR1400) 경험이 풍부한 한전기술은 우호적인 입지를 확보할 가능성이 큽니다.

 

한전기술 수주

 

반응형

3. 혁신형 SMR 기술 개발 본격화…글로벌 시장 진입 예고

3.1 4,000억 규모 정부 과제, 25% 수주

한전기술은 2023년부터 시작된 혁신형 SMR(소형모듈원자로) 기술개발사업에서 계통설계 및 BOP 종합설계 주관 등 6개 과제에 참여하고 있으며, 총 4천억 원 예산 중 25% 비중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수익은 ‘수탁과제연구수익’으로 인식되며, 2023년 161억 원에서 2024년은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3.2 2028년 표준설계인가 목표…국내→해외로

2025년 말까지 표준설계를 마무리하고 3년의 인허가를 거쳐 2028년에는 혁신형 SMR 표준설계 인가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SMR 상용화 기반이자, 향후 글로벌 SMR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전망입니다.


4. 실적 추이 및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가시화

4.1 실적 고도화: 순이익 3년 만에 3배 이상

연도매출액 (억원)영업이익 (억원)순이익 (억원)EPS (원)PER (배)
2021 4,331 101 165 430 197.5
2023 5,451 286 327 854 72.7
2024 5,534 548 585 1,531 34.6
2025E 5,883 573 1,020 2,667 23.4

2025년 예상 순이익 1,020억원, EPS 2,667원으로 추정되며 PER은 20배 초반까지 하락해 성장성 대비 저평가 매력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4.2 ROE·배당성향 상승세

  • ROE: 2021년 3.2% → 2024년 10.4%
  • 배당금: 2021년 238원 → 2024년 999원
  • 배당성향: 2021년 55% → 2024년 65%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높이며, 배당 투자 매력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한전기술 전망


5. 원자력 대장주로서의 위상…수급 주도력 확보

한전기술은 단순 원전 수주 수혜를 넘어서, 설계, O&M, SMR, 해체, 수출형 패키지 모델까지 포괄하는 종합 원자력 엔지니어링 기업입니다. 특히 최근의 수급 흐름에서도 외국인 매수세가 점진적 증가세를 보이고 있어 주가 하방을 탄탄하게 지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18일 기준 종가 62,500원, 주가 하단은 5.5만 원대에서 강한 매물대 지지가 예상되며, 수주 공시 및 SMR 가시화 이슈 발생 시 8만원대 재돌파도 가능성 충분합니다.


6. 결론: 장기 성장 테마로의 전환점

  • ✅ 체코 등 유럽 원전 수주 본계약 임박
  • ✅ UAE·사우디 원전 수출 기대감 확대
  • ✅ 혁신형 SMR 수익화 본격화 및 글로벌 진입
  • ✅ PER 20배 초중반, ROE 개선세, 배당 확대

한전기술은 단순한 수주 기대를 넘어 원자력 생태계 중심 기업으로 밸류체인 핵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중장기 관점에서 성장성과 안정성을 겸비한 국가대표 원전 대장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