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서론: 유한양행, 글로벌 항암 신약 개발 본격화
국내 대표 제약사 유한양행(000100)이 2025년 4월 29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신약 개발 성과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에이비엘바이오와 공동 연구한 면역항암제 'YH32367' 임상 1상 결과
-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 후속 분석 결과
이번 발표는 유한양행이 글로벌 항암제 시장을 겨냥해 기술력을 입증하는 의미 있는 발걸음으로 평가됩니다.
반응형
2. 면역항암제 YH32367, 임상 1상 결과 요약
2.1 YH32367 소개
- 기전:
- HER2(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2) 발현 종양세포에 특이적 결합
- T세포 활성 수용체 4-1BB를 자극해 면역세포의 항암 작용 증가
- 종양 특이적 면역 활성화 및 종양 성장 억제
- 공동개발: 유한양행 ✕ 에이비엘바이오(298380)
2.2 임상 1상 주요 결과
- 대상 환자: HER2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 32명
- 평가 항목: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항종양 활성
- 용량: 0.3mg/kg ~ 30mg/kg, 총 8단계
- 결과:
- 용량 제한 독성(DLT) 없음
- 최대 내약용량(MTD) 미도달 (안전성 매우 양호)
- 치료 관련 이상반응: 10명 발생 (주로 발열, 오한 / 대부분 1–2등급 경미한 수준)
김열홍 유한양행 R&D 총괄 사장은 "YH32367이 향후 담도암을 비롯한 여러 고형암에 대한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3.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 후속 분석 결과 발표
3.1 LASER 301 연구 후속 분석
- 목적: 렉라자 투여 환자의 질병 진행 시점에서 저항성 기전 평가
- 대상 환자: 82명 (질병 진행 전후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수행)
- 결과:
- 렉라자가 EGFR 변이에 대한 억제 효과를 보여줌
3.2 의미
- 기존의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대상 치료 옵션에서 렉라자의 우수한 억제력을 다시 한번 입증.
- 차후 렉라자의 1차 치료제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을 높이는 데이터로 활용될 전망.
4. 유한양행 신약 파이프라인 현황 정리
구분신약 후보개발 단계비고
면역항암제 | YH32367 | 임상 1상 완료 | 에이비엘바이오 공동개발 |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 렉라자(LAZERTINIB) | 1차 치료제 승인 후 후속 연구 | J&J와 공동개발 |
기타 항암제 | 다수 | 초기/중기 단계 | 다수 글로벌 제약사와 협력 |
5. 유한양행의 향후 투자 포인트
5.1 YH32367: 담도암 및 고형암 시장 진출 가능성
- 현재 시장에서 HER2 표적 치료제는 한정적이며, 4-1BB 작용제를 기반으로 한 면역항암제는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분야입니다.
- 유한양행의 YH32367은 안전성과 내약성 확보에 성공했기 때문에 후속 임상 진입이 기대됩니다.
- 특히, 담도암은 치료제가 제한적이라 빠른 시장 침투 가능성이 있습니다.
5.2 렉라자: EGFR 변이 폐암 1차 치료제 자리매김
- 이번 후속 분석은 렉라자가 EGFR 변이에 대해 강력한 억제력을 가진다는 점을 데이터로 입증했습니다.
- 미국 NCCN 가이드라인에서 'Other Recommended'에서 'Preferred Therapy'로 격상될 경우, 단기 주가 급등 모멘텀이 예상됩니다.
- 유한양행은 렉라자 글로벌 매출이 2025년 305백만달러 → 2027년 2,030백만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6. 결론: 유한양행, 글로벌 항암제 시장 본격 진출 초읽기
- 유한양행은 YH32367을 통해 면역항암제 신약 개발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으며,
- 렉라자 후속 데이터도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 시장에서 지속 성장 가능성을 확인시켰습니다.
2025년 하반기 이후:
- YH32367 후속 임상 진입 및 파트너십 확장 기대
- 렉라자 NCCN 가이드라인 변경 및 글로벌 매출 증가 가능성
[요약]
🌟 유한양행은 YH32367로 새로운 면역항암제 시장 도전, 🌟 렉라자는 EGFR 변이 폐암 시장에서 글로벌 입지 강화 중.
앞으로 유한양행 신약 파이프라인의 진척 속도에 따라, 중장기 주가 모멘텀은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응형
'주도주 & 시황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LS전선 미국 공장 착공 완료! 해저케이블 시장 독점 노린다 (1) | 2025.04.29 |
---|---|
iM금융지주, 호실적에 52주 신고가 돌파! 주가 전망은? (1) | 2025.04.29 |
비에이치아이 주가 상승 이유 총정리 (1) | 2025.04.29 |
LG생활건강 1분기 실적 분석: 상승 이유와 향후 주가 전망 총정리 (2) | 2025.04.29 |
한화시스템 2025년 1분기 실적 분석 및 주가 전망 (1)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