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모레퍼시픽 1분기 실적 요약: 컨센서스를 뛰어넘은 서프라이즈
2025년 4월 30일, 아모레퍼시픽은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의 기대를 완전히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잠정 실적에 따르면:
- 매출액: 1조 675억 원 (전년 동기 대비 +17.1%)
- 영업이익: 1,177억 원 (전년 동기 대비 +62%)
- 지배주주 순이익: 약 1,189억 원 (전년 대비 +48.5%)
이는 기존 시장 컨센서스였던 영업이익 985억 원을 약 19% 초과한 수치로, 실적 발표 당일 주가가 2.41% 상승하며 123,100원을 기록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2. 실적 호조의 3대 배경 분석
2.1 해외 매출 급증: 북미와 EMEA가 실적 견인
- 북미 매출: 1,590억 원 (YoY +81%), 영업이익률 26%
- EMEA 매출: 452억 원 (YoY +161%), 영업이익률 25%
특히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는 라네즈와 에스트라의 글로벌 확산이 주효했습니다. 미국 아마존, 얼타 뷰티, 세포라 등의 채널 확장과 함께 ‘립 슬리핑 마스크’, ‘레티놀 세럼’ 등 히트 상품들이 꾸준히 상위 랭킹을 유지 중입니다.
2.2 국내 채널 재정비: 면세 비중 축소, 이커머스 강화
- 국내 매출: 5,713억 원 (YoY +1%)
- 이커머스 채널 성장률: +7%
- 면세점 매출: 902억 원 (YoY -20%)
면세 채널 의존도를 낮추고, MBS(멀티브랜드스토어)와 온라인 채널 중심의 성장 전략이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됩니다. 설화수 중심의 백화점 채널도 견조한 수요를 유지하며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2.3 중국 시장 ‘적자 축소’
- 중국 매출: YoY -19%
- 영업손실: -56억 원 (전년 동기 대비 손실 24억 원 감소)
중국에서는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중심의 구조조정과 재고 환입 축소가 손실 축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라네즈, 설화수의 선택적 집중이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3. COSRX 부진, 그러나 상쇄 가능
- COSRX 매출: 1,094억 원 (YoY -30%)
- 영업이익: 306억 원 (YoY -49%)
COSRX는 북미 B2C 이커머스 기반의 고성장을 지속해오던 브랜드지만, 올해 1분기에는 조정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다만 하나증권에 따르면, 이니스프리, 라네즈, 에스트라 등의 글로벌 확산 속도가 이를 충분히 상쇄할 수 있으며, COSRX 자체도 2025년 매출 YoY -15%로 조정한 상태에서 실적 안정화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됩니다20250402_company_182373….
4. 밸류에이션과 주가 전략: 현재는 ‘매수 구간’
- 하나증권 목표주가: 190,000원
- 현재 주가: 약 123,000원
- PER(2025F): 약 24.9배
- PBR(2025F): 1.28배
현재 아모레퍼시픽의 주가는 COSRX 실적 우려가 과도하게 반영되며 밸류에이션 하단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의 두 자릿수 안착과 북미 중심 글로벌 브랜드 확장, 그리고 중국 손실 축소라는 구조적 개선을 감안할 때, 현 시점은 충분히 매력적인 진입 구간으로 판단됩니다.
5. 향후 전망 및 투자 포인트
매출 | 3.89조원 | 4.24조원 | +9.2% |
영업이익 | 2,205억 원 | 4,226억 원 | +91.6% |
순이익 | 5,932억 원 | 2,938억 원 | -50.4% (일회성 제외 시 실질 성장) |
ROE | 11.46% | 5.26% | 하향 안정 |
※ 2024년은 COSRX 지분법 이익 및 파생상품 관련 일회성 이익이 반영되어 순이익 급증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뷰티 브랜드로의 리포지셔닝이 강화되고 있으며, 특히 북미 시장에서의 프리미엄 스킨케어 브랜드들의 성장이 향후 2~3년간 아모레퍼시픽의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을 견인할 가능성이 큽니다.
6. 마무리: '프리미엄 뷰티 리더'로 재도약 시작된 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은 이번 1분기 실적을 통해 시장에 명확한 신호를 보냈습니다.
- 선택과 집중 전략이 실제로 이익률 개선으로 연결되고 있으며,
- 글로벌 시장, 특히 북미/EMEA에서의 성장이 한 차원 높은 도약을 가능케 하고 있습니다.
- COSRX의 일시적 부진은 있지만,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충분히 커버 가능한 수준입니다.
📌 결론: 실적 반등 + 글로벌 전략 성공 + 저평가 구간 = 매수 기회
'주도주 & 시황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코프로비엠 주가전망: 1분기 반등은 시작일 뿐일까? 양극재 수급과 관세 변수에 주목 (2) | 2025.04.30 |
---|---|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전망: 넷플릭스 계약 갱신, 중국 수출 기대감 집중 분석 (3) | 2025.04.30 |
HD현대에너지솔루션 주가전망: 미국 모듈 가격 상승 수혜주 될까? (1) | 2025.04.30 |
SK텔레콤 유심 해킹사태發 '엑스큐어' 2연상! 이유와 전망 총정리 (2) | 2025.04.29 |
이유식 명가 '에르코스' 주가 훨훨... 저출산 수혜 기대와 온 가족 푸드 솔루션 기업으로 변신 주목 (1)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