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도주 분석

미국 주식 하락시

by 수급노트 2024. 12. 27.
반응형
인버스



미국 주식 시장에서 인버스 상품(ETF 포함)을 선택할 때는

특정 시장이나 섹터의 하락에 베팅하는 전략입니다.

아래는 인버스 상품 중 고려할 만한 것들을 정리했습니다.

1. 지수 기반 인버스 ETF


• S&P 500 인버스
• 대표 상품: ProShares Short S&P500 (SH)
• S&P 500 지수 하락에 베팅.
• ProShares UltraPro Short S&P500 (SPXU)
• 3배 레버리지 인버스. 변동성이 크므로 단기 투자에 적합.
• NASDAQ 100 인버스
• 대표 상품: ProShares Short QQQ (PSQ)
• 나스닥 100 지수 하락에 베팅.
• ProShares UltraPro Short QQQ (SQQQ)
• 3배 레버리지 상품. 기술주 약세에 민감.
• 다우존스 산업지수 인버스
• 대표 상품: ProShares Short Dow30 (DOG)

2. 섹터별 인버스 ETF


• 기술주
• Direxion Daily Technology Bear 3X Shares (TECS)
• 기술주 섹터(S&P Technology Select Sector Index)의 3배 하락 베팅.
• 에너지
• ProShares UltraShort Oil & Gas (DUG)
• 에너지 섹터(S&P Oil & Gas Index) 하락 베팅.
• 유가 하락 전망 시 적합.
• 금융
• Direxion Daily Financial Bear 3X Shares (FAZ)
• 금융 섹터 약세에 투자.

3. 특수 상황 인버스 ETF


• 국채금리 상승 베팅
• ProShares UltraShort 20+ Year Treasury (TBT)
• 장기 국채 금리 상승 시 유리.
• 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ear 3X Shares (TMV)
• 변동성 지수(VIX) 상승
• ProShares Short VIX Short-Term Futures (SVXY)
• 변동성 하락 시 베팅(위험도 높음).

4. 주의사항


• 단기 투자 권장:

인버스 상품은 복리 효과로 인해

장기 보유 시 수익률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 시장 분석 중요:

시장이 과매수 상태이거나

금리, 경제 지표 등을 고려해

하락 가능성이 클 때 활용.


• 레버리지 상품의 리스크:

변동성이 크므로 손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시장 상황(예: 금리, 경기 둔화 우려, 유가 등)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목표와 리스크 관리 전략을

함께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방어주



인버스 상품이 아닌

다른 주식 하락 시 상승하는 종목을 찾으려면

일반적으로 시장의 하락에 대비한

방어주나 역상관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러한 성격을 가진 종목과 섹터입니다.

1. 방어주 (Defensive Stocks)


• 경기와 무관하게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들.


• 대표 섹터:
• 헬스케어
• 예: Johnson & Johnson (JNJ), Pfizer (PFE), UnitedHealth Group (UNH)
• 필수소비재
• 예: Procter & Gamble (PG), Coca-Cola (KO), PepsiCo (PEP)
• 경기 침체 시에도 소비가 꾸준한 생활용품과 식음료.
• 유틸리티 (Utilities)
• 예: NextEra Energy (NEE), Duke Energy (DUK)
• 경기와 상관없이 안정적인 전기, 가스 공급.



2. 고배당주


• 주가 하락기에는 배당 수익률이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작용.


• 대표 종목:
• AT&T (T), Verizon (VZ) (통신 섹터)
• Realty Income (O) (리츠, 월 배당 제공)



3. 귀금속 관련 종목


• 금과 같은 안전자산은 시장이 불안할 때 가치가 상승.


• 대표 종목 및 ETF:
• Barrick Gold (GOLD), Newmont Corporation (NEM) (금광 회사)
• SPDR Gold Shares (GLD), iShares Silver Trust (SLV) (귀금속 ETF)



4. 역상관 자산 기반 종목


• 달러 강세 수혜 기업
• 시장 불안 시 달러 가치 상승으로 혜택을 보는 수출기업.
• 예: Boeing (BA), Caterpillar (CAT)


• 원자재 관련주
• 원유, 농산물 등의 수요 증가로 상승 가능.
• 예: ExxonMobil (XOM), Chevron (CVX)



5. Hedge 전략 ETF


• 다른 주식 하락에 상승하는 ETF는 역상관을 가지는 ETF를 활용.


• 예:
• Cambria Tail Risk ETF (TAIL): 시장 급락 시 수익성 상승.
• iPath S&P 500 VIX Short-Term Futures ETN (VXX): 변동성 상승에 투자.



6. 공급망 안정 관련 기업


• 경제 위기 속에서도 글로벌 필수품을 공급하는 기업.
• 예: 3M (MMM), General Mills (GIS)

 

 

국채 ETF

 


국채 ETF는 시장 하락이나 경기 침체기에

안정적 투자를 원할 때 매력적인 선택입니다.

 

특히, 금리가 하락하거나 경제 불확실성이 커질 때

국채 ETF는 수익을 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래에서 국채 ETF의 특징과 추천 상품을 정리했습니다.



1. 국채 ETF의 특징


• 안정성: 국채는 정부 발행 채권으로 신용 위험이 낮아 안정적인 투자 수단입니다.
• 이자 수익: 국채 ETF는 보유 채권의 이자 수익(배당금)을 분배합니다.
• 가격 상승: 금리가 하락할 때 채권 가격은 상승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종류: 투자 기간에 따라 단기, 중기, 장기로 나뉩니다.

2. 추천 국채 ETF

(1) 장기 국채 ETF


• 금리 하락기에 유리하며, 변동성이 큽니다.


• 대표 상품:
•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TLT)
• 20년 이상 만기 국채에 투자.
• Vanguard Extended Duration Treasury ETF (EDV)
• 초장기 국채, 금리 변동에 민감.

(2) 중기 국채 ETF


• 변동성이 적당하며, 안정성과 수익성의 균형을 제공합니다.


• 대표 상품:
• iShares 7-10 Year Treasury Bond ETF (IEF)
• 7~10년 만기 국채에 투자.

(3) 단기 국채 ETF


• 금리 상승기 또는 단기 자금 운용 시 유리.
• 대표 상품:
• iShares 1-3 Year Treasury Bond ETF (SHY)
• 단기 국채 중심으로 안정적.
• SPDR Bloomberg 1-3 Month T-Bill ETF (BIL)
• 단기 국채 상품 중 가장 안정적.

 


3. 금리와 국채 ETF의 관계


• 금리가 하락할 때: 장기 국채 ETF가 가장 큰 수혜를 봄.
• 금리가 상승할 때: 단기 국채 ETF는 가격 변동이 적고 안정적.



4. 현재 시장 상황에 따른 전략


• 금리 고점 혹은 하락 전망:
→ 장기 국채 ETF(TLT, EDV) 매력적.
• 금리 추가 상승 가능성:
→ **단기 국채 ETF(SHY, BIL)**로 리스크 최소화.
• 경기 침체 가능성:
→ 장기 국채 ETF는 수익 창출 가능.

5. 주의사항
• 금리 변화가 국채 ETF의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금리와 경제 상황을 꾸준히 점검하세요.
• 달러 환율 리스크: 해외 투자 시 환율 변동도 고려해야 합니다.

국채 ETF는 비교적 안정적인 투자처로,

특히 시장 변동성이 클 때 유용합니다.



반응형

'주도주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국가경제 비상사태 검토  (1) 2025.01.09
엔화 강세시 ETF  (1) 2024.12.27
주식양도세 대주주 기준  (1) 2024.12.25
브로드컴  (5) 2024.12.25
조선주 상승  (0) 2024.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