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6

뇌수술용 로봇 글로벌 진출 본격화! 고영(098460), 저평가된 혁신주에 주목해야 할 이유 1. 고영은 어떤 기업인가?고영(098460)은 산업용 검사장비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대표 중소형 기업입니다. 주력 제품은 납도포 검사기(SPI), 자동광학검사기(AOI) 등 3D 비전 검사장비로, 삼성전자, 인텔, 폭스콘, 테슬라 등 글로벌 전자·자동차 기업의 생산라인에 광범위하게 납품되고 있습니다.최근에는 단순 검사장비를 넘어 AI 기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반도체 패키징 검사장비, 그리고 특히 정밀 의료용 수술로봇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며 새로운 성장축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2. 2025년 1분기 실적 리뷰: 수익성 회복의 신호2025년 1분기 실적은 다소 복합적인 결과를 보였습니다. 매출은 전년 대비 3.6% 감소한 511억 원이었지만, 영업이익은 32억 원으로 전년 대비 46.2% 증가.. 2025. 5. 2.
애플 2분기 실적 발표 분석: 관세 리스크와 공급망 재편, 서비스 성장 둔화까지 2025년 5월 2일, 세계 최대 시가총액 기업 중 하나인 애플(Apple Inc.)이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웃돌았으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4.09% 급락하며 시장의 불안 심리를 반영했습니다. 특히 CEO 팀 쿡의 관세 관련 발언과 서비스 부문의 성장 둔화, AI 전략 지연 등의 이슈는 투자자들의 우려를 자극하기에 충분했습니다.본 포스트에서는 애플의 실적 세부 내용부터 주요 경영 리스크, 공급망 재편 전략, 그리고 투자자 대응 전략까지 총체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애플 2분기 실적 요약: 숫자는 좋았지만 방향성은 불안항목실제 실적시장 예상치(LSEG 기준)주당순이익(EPS)$1.65$1.63매출$954억$946.6억아이폰 매출$46.. 2025. 5. 2.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전망: 美 가스터빈 수주 기대와 SMR 수혜 본격화 2025년 5월 들어 두산에너빌리티(034020)에 대한 증권가의 기대가 다시금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대신증권은 5월 2일 자 리포트를 통해 미국 가스터빈 시장에서의 수주 가능성을 언급하며 목표주가를 기존 3만5천 원에서 3만8천 원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의 1분기 실적, 가스터빈 수주 기대, 소형모듈원자로(SMR) 수주 본격화, 중장기 실적 추정 상향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1. 1분기 실적: 기대에는 못 미쳤지만, 방향은 여전히 '성장'두산에너빌리티는 2025년 1분기에 매출 3조7,500억 원, 영업이익 1,425억 원을 기록했습니다.이는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2,540억 원)를 크게 하회한 수치로, 일부 투자자들에게 실망을 안겨주었습니다.하지만.. 2025. 5. 2.
IRA 보조금 부활한 아이오닉5, 현대차의 미국 전기차 전략 전환점 될까? 1. 아이오닉5, 다시 IRA 보조금 대상에 포함되다2025년 5월 1일(현지시간), 미국 에너지부는 현대자동차의 대표 전기차 모델인 아이오닉5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세액공제 대상 전기차 명단에 다시 포함시켰습니다. 이는 작년 말 이후 한때 명단에서 제외되었던 상황에서 다시금 포함된 것으로, 현대차의 미국 현지 생산 확대 전략이 보조금 수혜 자격을 회복시키는 결과로 이어진 것입니다.이로써 아이오닉5는 미국 내 소비자들에게 최대 7,500달러(약 1,000만 원)에 달하는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게 되며, 판매 경쟁력을 크게 회복하게 됩니다. 이 같은 조치는 현대차그룹이 조지아주에 설립한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공장에서 본격적인 현지 생산을 개시한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2... 2025. 5. 2.
한화시스템 주가전망|방산 수출 대장주, 우주·AI 기술까지 잡은 국방 성장주 2025년 1분기, 국내 방산 및 첨단 ICT 대표 기업인 한화시스템(272210)이 시장의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수출 비중 증가와 고부가가치 제품의 실적 반영, 조선·우주 산업으로의 확장까지—한화시스템은 단순한 방산 기업의 틀을 넘어 '디지털 국방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 중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한화시스템의 1분기 실적 리뷰부터, 글로벌 수출 확대 전략, 미국 방산 시장 진출, 오스탈 인수 건, 디지털 방산 기술, ESG 접근, 경쟁사 비교까지 2025년 현재 이 종목을 투자해야 할 이유를 정리해드립니다.1. 2025년 1분기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의 배경은 수출한화시스템은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6,901억 원, 영업이익 582억.. 2025. 5. 2.
"BTS가 돌아온다"…하이브, 주가 33만원 돌파하나? 실적 반등 + 글로벌 전략 총정리 2025년 5월, 대한민국 주식시장에서는 엔터주 중 단연 돋보이는 종목이 있습니다. 바로 하이브(352820)입니다. 방탄소년단(BTS)의 완전체 복귀가 6월로 다가오며, 하이브의 주가와 실적, 그리고 향후 성장 전략에 대한 기대감이 동시에 커지고 있습니다.최근 하나증권과 삼성증권은 하이브에 대해 '컨빅션 최선호주' 유지 및 목표주가 상향이라는 강력한 투자 의견을 내놓았고, 시장은 이에 호응하듯 하이브 주가가 단기간 내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본 글에서는 하이브의 실적 흐름, BTS 효과, 신인 데뷔 전략, 중국 시장 기대, 위버스 플랫폼 수익화 등 종합적인 투자 포인트를 분석하며, 앞으로의 주가 흐름을 전망해보겠습니다. 1. 1분기 실적은 '기대 이하'…그러나 진짜는 2분기부터하이브의 2025년 1분기 .. 2025. 5. 1.
예금금리는 내리는데 대출은 왜 비쌀까? 예대마진·가산금리 핵심정리 최근 들어 대출금리와 예금금리가 동시에 하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둘의 차이인 '예대금리차'는 오히려 커지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려면 단순한 수치 이상의 배경 구조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예대금리차가 왜 확대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배경이 되는 대출금리의 구조와 가산금리의 역할까지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1. 예대금리차, 왜 커지고 있나?2025년 3월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금리는 연 4.51%로 전월보다 0.01%포인트 소폭 하락했지만, 예금금리는 2.84%로 0.13%포인트나 하락했습니다. 예금금리 하락 폭이 더 크다 보니,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인 '예대금리차'는 오히려 커졌고, 이 현상은 벌써 7개월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시기 대출금리 예금금리 예대.. 2025. 5. 1.
통신업계 혼란 속 빛나는 KT, 2분기 실적과 배당 확대 기대감에 주가 재평가 2025년 5월, 국내 통신업계는 극심한 대비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에서는 유심(USIM) 해킹이라는 초유의 사태로 인해 소비자 신뢰가 급락하고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실적 개선과 주주 환원 확대라는 호재로 인해 재평가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반대의 흐름 속에서 가장 돋보이는 종목은 바로 KT(030200)입니다.​ 하나증권은 2025년 4월 3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KT를 5월 통신서비스 업종 Top Pick으로 제시하며, 12개월 기준 업종 내 최우선 추천 종목으로도 선정했습니다. 특히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KT의 2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9,70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 늘고, 1분기보다도 44% 증가할 것"이라며 "1분기 실적도 우수하겠지만 2분기에도 놀라운 KT 실적.. 2025. 5. 1.
이마트 주가 40% 급등! 정용진 회장의 실적 반전과 자사주 소각의 힘 2025년 4월 말 기준, 이마트(139480)의 주가가 연초 6만 원대 초반에서 9만 원대에 근접하며 약 40% 상승하는 강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과거 2023년 사상 첫 적자를 기록하며 위기설에 휘말렸던 이마트가 불과 1~2년 만에 실적 회복과 주주친화 정책, 외형 확장 전략을 기반으로 재평가받고 있는 것입니다. 특히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전면 경영이 본격화된 1년 동안의 변화가 주가에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1. 2023년 적자 → 2024년 흑자 전환, 본업 강화 효과이마트는 2023년 연결 기준 사상 첫 적자를 기록했지만, 2024년엔 영업이익 471억 원을 내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매출은 29조209억 원으로 소폭 감소했지만, 수익성은 뚜렷한 개선 흐름.. 2025. 5.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