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도주 & 시황 브리핑

LG전자 1분기 사상 최대 매출, 하지만 2분기 이후 관세 리스크 부각

by 재테크노트 2025. 4. 27.
반응형

LG전자가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2분기 이후 트럼프발 관세 이슈글로벌 수요 둔화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시장의 시선은 조심스럽게 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LG전자 1분기 실적 주요 포인트, 2분기 이후 전망, 투자 전략까지 심층 분석해보겠습니다.

반응형

1. LG전자 1분기 실적 요약

2025년 1분기 LG전자는 다음과 같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구분실적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 22조 7,398억원 +7.8% 증가
영업이익 1조 2,591억원 -5.7% 감소
  • 매출액은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는데, 이는 물류비 상승고정비 증가 영향이 컸습니다.

LG전자 관계자는 "1분기까지 높은 물류비 영향이 남아 있었고, 고정비용 증가도 수익성에 부담을 줬다"고 설명했습니다.
 

lg전자 주가

2. 1분기 실적의 핵심 성장 동력

LG전자가 1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할 수 있었던 핵심 동력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됩니다.

  1. B2B(기업간거래) 매출 확대
  2. 웹OS 등 Non-HW(비하드웨어) 부문 성장
  3. D2C(Direct to Consumer) 구독형 모델 확산

특히, 과거 하드웨어 중심이었던 사업구조를 플랫폼·서비스형 비즈니스로 전환하려는 전략이 효과를 내기 시작한 점이 긍정적입니다.
 

3. 부문별 영업이익 현황

SK증권에 따르면, 부문별 1분기 영업이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문영업이익 (억원)
H&A(백색가전) 6,446
HE(TV/음향/PC) 49
VS(전장부품) 1,251
ES(냉난방공조) 4,067
기타 -470
자회사 (LG디스플레이 등) 1,248
  • 특히 눈에 띄는 것은 ES 부문(냉난방공조기 사업)입니다.
  • 13%라는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며, 기존 가전 부문의 한계를 뛰어넘는 수익성을 보여주었습니다.

※ ES 부문은 2024년 말 H&A 부문에서 분사해 신설된 사업부입니다.
 

LG전자 실적
LG전자 실적

 

4. 관세 리스크와 2분기 전망

LG전자의 실적에 가장 큰 변수가 되고 있는 것은 관세 리스크입니다.

관세 리스크 요약

  •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정책 강화 움직임
  • 가전·IT 제품에 대한 수입관세 인상 가능성
  • 무역 분쟁에 따른 재고 조정소비 둔화 우려

SK증권은 "2분기 LG전자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약 2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관세 이슈로 인해 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이 크며, 이는 하반기 실적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5. 주가 흐름 및 현 주가 평가

현재 LG전자 주가는 다음과 같은 상황입니다.

항목수치
현재가(4/25 기준) 71,600원
52주 최고가 115,400원
52주 최저가 대비 상승률 38% 수준

PBR(주가순자산비율) 기준으로는 0.6배 수준으로, 여전히 저평가 구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SK증권은 "LG전자의 현재 주가에서는 배당주 매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LG디스플레이 등 자회사의 실적이 개선되면 배당 증가 가능성 존재
  • 순이익 1조원 이상 가능성 있음

6. 목표주가 하향 조정

SK증권은 최근 LG전자 목표주가를 14만원 → 10만원으로 대폭 하향 조정했습니다.

  • 2023년 7월: 13.8만원 → 15만원 상향
  • 2023년 10월: 14만원으로 하향
  • 2025년 4월: 10만원으로 하향

목표주가 10만원은 현재 주가 대비 약 40% 상승 여력이 존재하지만, 관세 이슈를 고려하면 투자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lg전자 전망

 

7. 투자 전략: 어떻게 대응할까?

LG전자 투자 전략은 두 가지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단기 관점: 관세 불확실성 해소 전까지는 보수적 대응
    • 하반기 재고 부담 심화 가능성
    • 2분기 실적 둔화 가능성
  2. 장기 관점: Non-HW 성장성과 배당 매력에 주목
    • B2B, 구독형 서비스, 웹OS 수익화 전략 지속
    • PBR 0.6배 수준의 저평가 메리트
    • 자회사 실적 개선 시 배당 증가 가능성

관세 리스크 해소 여부가 향후 주가 반등의 핵심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8. 결론: '사상 최대 매출'의 빛과 그림자

LG전자는 1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성장 전략의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관세 전쟁, 글로벌 수요 둔화 등 외부 변수는 여전히 실적에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 LG전자 주식은 배당 매력과 저평가 메리트를 고려하면 분할 매수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관세 리스크를 예의주시하며 신중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앞으로도 매크로 변수와 수급 변화를 꾸준히 체크하며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이 중요할 것입니다.
 
 

적자 터널 빠져나온 LG디스플레이, OLED 흑자 반전 성공! 주가 전망은?

1. LG디스플레이,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달성2025년 4월 24일, LG디스플레이(034220)가 발표한 2025년 1분기 실적은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결과였습니다.특히 OLED 중심 사업 구조 전환과 강력한 원

gdolgdol33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