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도주 & 시황 브리핑

한국 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 북미 대흥행! 관련주 총정리

by 재테크노트 2025. 4. 28.
반응형

1. '킹 오브 킹스' 북미 박스오피스 흥행 돌풍

한국 CG/VFX 전문기업 모팩스튜디오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King of Kings)'**가 북미에서 대형 흥행에 성공했습니다.
2025년 4월 27일 기준, '킹 오브 킹스'는 북미 박스오피스 누적 수익 5,451만 달러(약 784억 원)를 기록하며,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북미 최종 수익(5,384만 달러)을 단 17일 만에 넘어섰습니다.

특히 개봉 초기보다 스크린 수가 300개 이상 증가한 점,
3주 차에도 3,175개 상영관을 유지하며 드롭률 없이 흥행세를 이어가는 점이 이례적입니다.
이는 북미 시장 내 한국 애니메이션 최초 사례로 기록될 가능성이 큽니다.

✏️ 참고: '기생충'은 62주 동안 상영 + IMAX 재개봉을 포함해 5,384만 달러를 기록.

 

반응형

2. '킹 오브 킹스' 흥행 요인 분석

  • ① 원작 친숙성:
    영국 작가 찰스 디킨스의 '우리 주님의 생애'를 바탕으로 제작. 북미 기독교 문화권 관객들에게 높은 친숙도를 제공.
  • ② 부활절 개봉 전략:
    부활절 시즌에 맞춰 신앙 관련 콘텐츠를 집중 소비하는 특수를 정확히 겨냥.
  • ③ 초호화 성우진:
    오스카 아이작, 피어스 브로스넌, 케네스 브래너, 우마 서먼, 마크 해밀 등 북미 관객에게 친숙한 스타 성우들 참여.
  • ④ K-콘텐츠 붐:
    '오징어 게임', '기생충' 등으로 이미 높아진 한국 콘텐츠 신뢰도가 긍정적으로 작용.
  • ⑤ VFX 기술력:
    모팩스튜디오의 30년 CG/VFX 노하우가 집약된 수준 높은 비주얼 퀄리티.

킹오브킹스


3. '킹 오브 킹스' 관련주 총정리

'킹 오브 킹스'의 성공과 함께 주목할 만한 관련주를 정리해보겠습니다.

3-1. 모팩스튜디오 (비상장)

  • 제작사: '킹 오브 킹스'를 직접 제작한 모팩스튜디오는 현재 비상장사입니다.
  • 향후 전망: 북미 흥행 성공을 바탕으로 상장 추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으며, 국내외 추가 투자 유치 기대감 상승.

모팩스튜디오 관련 투자 포인트

  • 글로벌 배급 계약 확대 가능성
  • 후속 작품 제작 및 프랜차이즈화 기대
  • M&A(인수합병) 이슈 발생 가능성

킹오브킹스 관련주


3-2. 위지윅스튜디오 (299900)

  • VFX·콘텐츠 제작 대장주.
  • 모팩스튜디오와 사업영역 유사. K-콘텐츠 붐 수혜주로 묶이는 경우가 많음.

위지윅스튜디오 투자 포인트

  • 디즈니+, 넷플릭스 향 콘텐츠 제작 다수
  • 글로벌 IP 확장 전략 강화
  • 수급 개선 기대

위지윅스튜디오


3-3. 쇼박스 (086980)

  • 한국 대표 영화·콘텐츠 유통사.
  • 글로벌 콘텐츠 확장에 적극적 투자. 모팩스튜디오 상장 추진 시 협력 가능성 주목.

쇼박스 투자 포인트

  • K-콘텐츠 글로벌 확산 수혜
  • '범죄도시4' 대흥행 기대감

3-4. NEW (160550)

  •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종합 콘텐츠 기업.
  • OTT 오리지널 콘텐츠 공급 강화. 한류 콘텐츠 제작 경험 다수.

NEW 투자 포인트

  • 애니메이션·VFX 콘텐츠 투자 확대
  • 콘텐츠 글로벌화 전략 강화

3-5. 삼화네트웍스 (046390)

  • 드라마, 애니메이션 제작사.
  • 글로벌 콘텐츠 유통사들과 협력 강화 중.

삼화네트웍스 투자 포인트

  • 북미·유럽향 드라마, 애니메이션 공급 기대
  • OTT 콘텐츠 제작 본격화

4. 향후 투자 전략 제안

  • 단기 전략:
    모팩스튜디오 관련 상장 모멘텀이나 추가 IP 계약 이슈를 선반영하는 종목을 선별.
  • 중기 전략:
    북미 K-콘텐츠 확산에 따른 VFX·애니메이션 기업 전반에 분산 투자.
  • 유의사항:
    단기 과열 구간 진입 시 변동성 확대 가능성 주의.
    북미 성과에 비해 국내 흥행은 아직 미지수.

5. 결론: '킹 오브 킹스' 성공이 의미하는 것

'킹 오브 킹스'의 북미 대흥행은 단순히 한 편의 영화 성공을 넘어,
한국 애니메이션과 CG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공식적으로 입증한 사건입니다.
특히 '킹 오브 킹스'는 앞으로

  • 한국 애니메이션 제작 시장의 판도 변화를 촉진하고,
  •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국 콘텐츠 생태계 전반으로 확산시키는
    중요한 기폭제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 '킹 오브 킹스' 관련주와 K-콘텐츠 수혜주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의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