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도주 & 시황 브리핑

코미코 주가 전망: 미세화 시대의 필수 수혜주, 목표주가 9만원 근거는?

by 재테크노트 2025. 4. 22.
반응형

📌 요약: 반도체 공정 미세화와 중국향 매출 확대, 그리고 자회사 미코세라믹스의 성장세까지. 코미코는 지금 가장 매력적인 소재 업종 Top-pick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SK증권은 2025년 목표주가를 90,000원으로 제시하며 매수 의견을 신규 편입했습니다. 현재 주가(4/21 기준) 61,300원 대비 상승여력은 +46.8%입니다.


1. 코미코는 어떤 기업인가? – 반도체 세정/코팅 필수 플레이어

코미코(183300, KQ)는 반도체 공정 장비에 사용되는 주요 부품을 세정 및 코팅하는 사업을 영위합니다. 이 부품들은 공정 중 오염 및 마모로 인해 주기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며, 공정 미세화가 진전될수록 더욱 정밀한 세정·코팅 기술이 요구됩니다.

  • 설립: 1996년
  • 주요 고객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Micron, TSMC, Intel 등
  • 공정 적용 분야: 식각, 증착, 노광 장비 부품
  • 주요 법인: 안성(한국), 우시(중국), 오스틴·힐스보로(미국), 신주(대만), 싱가포르, 피닉스(미국 신규 설립)

공정 미세화 = 수율↑ → 파티클 제어 필요↑ → 세정/코팅 수요↑

 

코미코 주가


2. 실적 성장의 중심: 2025년 영업이익 +18.8% 전망

항목20232024E2025E2026E
매출액(십억원) 307 507 577 656
영업이익 33 112 134 158
지배 순이익 32 56 71 85
EPS(원) 3,014 5,340 6,792 8,163
  • 2025E 매출 YoY +13.8%
  • 2025E 영업이익 YoY +18.8%
  • OPM: 23% → 24% 수준까지 상승

특히 2024년 실적 급증은 미코세라믹스 인수 효과중국향 매출 급증이 복합 작용한 결과입니다.

 

반응형

3. 핵심 투자 포인트 ① 미세화 → 수요 폭증

▷ 기술 장벽 있는 세정/코팅 산업

  • 단순 세척이 아니라 파티클 제어, 내식성 강화 등 고기술 요구
  • 플라즈마 세정 코팅 수요는 공정 고도화에 비례
  • 고객사도 신부품 대비 약 1/3 비용으로 부품을 재활용 가능

💡 코미코의 기술력은 고객사의 수율 안정비용 절감을 동시에 지원합니다.

 

코미코 전망


4. 핵심 투자 포인트 ② 중국 매출 비중 32%, 램프업 본격화

사업 부문중국 매출 비중
세정/코팅 24%
미코세라믹스 40%
전체 연결 기준 32%
  • 2023년 중국향 공급 비중 증가 → 실적 성장을 견인
  • 2024년부터 본격적인 메모리 투자 램프업 시작
  • 미중 갈등으로 장비 반입 제한 → Aftermarket 수요 확대

🚀 중국 내 소재·부품 공급 기업에게는 호황기의 전조로 해석됩니다.


5. 핵심 투자 포인트 ③ 미코세라믹스 상장 불확실성 해소

  • 미코세라믹스는 2020년 물적분할 후 2023년 코미코로 영업이관
  • 상장 5년룰 회피 시점이나, 최근 흡수합병 분위기
  • EPS 희석은 5~10% 수준에 그치고, 모회사 디스카운트 해소 효과는 훨씬 큼
  • SK증권은 흡수합병 가능성에 무게를 두며 Valuation 개선 요인으로 평가

6. 코미코의 자회사: 미코세라믹스의 성장 폭발

  • 제품 구성: 세라믹 히터(80%), 정전척 ESC(10%), 세라믹 파츠(10%)
  • 독점 납품 고객: ALD 장비 1위 ASM
  • 2024E 매출: 2,200억 → 전년 대비 약 2배 성장
  • 중국 OEM 공급 확대

📌 미코세라믹스는 ALD 증착 장비 산업의 핵심 부품 공급사로 가파른 성장 중입니다.

 

미코세라믹스


7. 목표주가와 밸류에이션: PER 12x → 90,000원

항목수치
12MF EPS 7,478원
Target PER 12배
산출된 적정 주가 89,736원
SK증권 목표주가 90,000원
현 주가(4/21) 61,300원
Upside Potential +47%
  • 과거 고점 PER: 18배
  • 현재 PER: 9배 수준
  • 디스카운트 해소 + 성장성 부각 → 재평가 여지

8. 결론: 코미코, 단순 소재주가 아닌 '미세화 시대의 핵심 인프라'

  • 반도체 산업에서 공정 미세화는 되돌릴 수 없는 흐름
  • 세정/코팅 시장은 규모보다 수율 안정과 기술 집중도가 높은 고부가 가치 시장
  • 중국향 매출 확대는 단기적 성장 동력
  • 미코세라믹스의 성장은 중장기 기업가치의 핵심 축
  • 향후 합병 가능성까지 고려 시, 시장의 모회사 할인 해소 여지 충분

📈 소재 업종 탑픽 Top-pick 종목으로서, 기관의 매수 유입이 본격화될 시점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