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도주 & 시황 브리핑

K-조선 3월 세계 선박 수주 점유율 1위

by 재테크노트 2025. 4. 5.
반응형

중국 제치고 55% 달성

📌 요약 정리

구분한국중국
3월 수주량 82만 CGT (17척) 52만 CGT (31척)
점유율 (3월) 55% (1위) 35% (2위)
1척당 평균 톤수 48,000 CGT 17,000 CGT
1분기 누적 점유율 27% (209만 CGT, 40척) 49% (380만 CGT, 139척)
3월 말 수주잔량 3612만 CGT (23%) 9397만 CGT (59%)
반응형

✅ 주요 해석

🔹 3월 급반등 배경

  • 고부가가치 선박 중심 수주
    → 한국은 중국보다 척수는 적지만 톤수는 많음(2.8배)
    → 주로 LNG 운반선, VLCC,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 고난이도 선박을 수주함
  • 수익성과 기술력 중시 전략이 유효하게 작용함

🔹 1분기 누적에서는 아직 중국 우위

  • 중국: 대량 생산 기반, 중소형선 위주로 수주 확대
  • 한국: 질적 수주 위주, 수익성 중심으로 선별 수주 중
  • 다만, 3월 반등은 2분기 분위기 전환의 신호일 수 있음

📊 선박 가격 동향 (신조선가지수 기준)

선종선가(USD)
LNG 운반선 2억 5,500만 달러
VLCC(초대형 유조선) 1억 2,500만 달러
초대형 컨테이너선 2억 7,400만 달러
  • 📉 신조선가지수: 187.43
    (1988년 = 100 기준, 2월 대비 -0.93p 하락)

→ 가격은 소폭 조정되었지만 고부가 선종 선가는 여전히 강세


🔍 시사점 및 전망

💡 긍정 요인

  • 고부가가치 선박 경쟁력 강화 (LNG, VLCC, 컨테이너선 등)
  • 글로벌 친환경 규제 강화 → 탄소중립 선박 수요 증가
  • 미국 관세 이슈 제외 → HD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 등 반사이익

⚠️ 유의할 점

  • 중국의 물량 공세 지속
  • 중장기 수주잔량 격차 확대 (중국 59%, 한국 23%)
  • 신조선가지수 하락 추세 지속 시, 수익성 방어 필요

 

한국 조선업계는 3월 한 달간 '질적 우위'를 바탕으로 세계 수주 점유율 1위를 달성하며 반등의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1분기 전체로는 아직 중국에 밀리지만, 고부가 중심의 전략이 성공한다면 2분기 이후 점유율 확대도 기대됩니다.

 

 

 

 

 

 

 

🧭 K-조선 수주 반등에 따른 업종별 수혜 종목 분석

2024년 3월 세계 수주 점유율 55%, LNG·VLCC 중심 고부가 선박 수주 호조


🚢 1. 조선업종 (메이저 조선 3사)

🔹 수혜 배경:

  • LNG운반선, 초대형 유조선(VLCC) 등 고부가가치 선종 수주 증가
  • 1척당 CGT 톤수가 중국 대비 2.8배 이상
  • 3월 단독 세계 수주 점유율 1위(55%) 달성
종목명주요 포인트비고
HD현대중공업 세계 1위 조선그룹, 고부가 LNG·VLCC 경쟁력 최상 미국 관세 제외 수혜주
삼성중공업 LNG선 중심 수주 구조, 유럽 고객 기반 탄탄 기술력 기반 수익성 강화
한화오션 고부가 컨테이너선·잠수함 수주 확대, 방산부문 기대 한화 계열 편입 후 체질 개선 가속

🏭 2. 조선 기자재 (밸류체인 상 수혜)

🔹 수혜 배경:

  • 수주량 증가 → 기자재 발주 동반 확대
  •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와 함께 기자재 단가 회복세
종목명주요 포인트
현대에너지솔루션 선박용 에너지 시스템 공급
세진중공업 선박 모듈, 조선기자재 생산
태광산업 고압관·배관 자재

⚓ 3. 해운업종 (연계 수요 확대)

🔹 수혜 배경:

  • 선사들이 친환경·노후선 교체 투자 확대
  • 장기 운송 수요 증가 = 신조 발주 필요성↑
종목명주요 포인트
HMM 컨테이너선 발주 확대 시 수혜
팬오션 벌크선 중심 수요 확대 예상

🧱 4. 소재/부품 (강판, 페인트 등)

🔹 수혜 배경:

  • LNG선용 고강도 강재 및 내식 도료 수요 증가
  • 조선업 수주 증가 → 원자재 및 소재 발주 증가
종목명주요 포인트
포스코홀딩스 고망간강, 극저온강 등 LNG선 전용 소재
동국제강 조선용 후판, 구조재 공급
노루페인트 선박용 특수 도료

🧠 5. 기술·플랫폼 (스마트십, 조선 IT 솔루션)

🔹 수혜 배경:

  • 스마트십, 친환경 추진 기술, 디지털 트윈 도입 확산
  • IMO·EU 환경규제 대응 수단으로 수요 급증
종목명주요 포인트
한컴MDS 스마트 선박용 임베디드 시스템
다쏘시스템코리아 디지털 트윈 솔루션
로보틱스·센서 기업군 AI 기반 예지보전 시스템 적용

🔚 결론 및 투자 전략

투자 전략설명
1. 대형 조선 3사 중심 비중 확대 HD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은 수익성 및 수주 모두 탄탄
2. 기자재·소재기업은 후행주로 분할 매수 유효 후판·도료·모듈 업체는 수주 후 납품 시점에서 실적 반영
3. 스마트 기술 및 ESG 솔루션 기업은 중장기 포트로 고려 조선산업의 디지털 전환 흐름은 구조적 추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