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도주 & 시황 브리핑

비만 치료제 관련주 총정리: 대장주부터 글로벌 경쟁사까지 완벽 분석

by 재테크노트 2025. 4. 19.
반응형

비만 치료제 시장은 2025년 들어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의 핵심 성장 분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GLP-1 계열 약물의 성과가 본격화되면서 국내외 기업들의 신약개발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국내 주식시장에서는 관련 수혜주들이 강한 테마 흐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번 수급시황노트에서는 비만 치료제 관련 대장주, 임상 진척주, 플랫폼 기술 보유 기업, 글로벌 경쟁사까지 총망라하여 투자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립니다.

반응형

✅ 1.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 규모 및 트렌드

  • 시장조사기관 IQVIA에 따르면, 비만 치료제 시장은 2023년 약 240억 달러 → 2028년 1,310억 달러로 성장 전망
  • GLP-1, GIP, GCG 등 다중 작용제 기반 치료제 개발이 핵심 트렌드
  • 주사제에서 경구형 비만 치료제로 패러다임 전환 중 (복약 순응도 제고 목적)

✅ 2. 국내 비만 치료제 관련 주요 종목 정리

① 디앤디파마텍

디앤디파마텍은 미국에서 직접 임상시험을 수행하는 바이오 벤처로, MASH(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 치료제인 ‘DD01’의 임상 2상에서 12주차 환자 투약을 마무리하고, 오는 6월 중 주요 1차 평가지표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DD01은 GLP-1 및 글루카곤 수용체를 동시에 타겟으로 하는 이중 작용제로, 체중 감소와 지방간 개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신약입니다.

 

또한 디앤디파마텍은 오랄링크(ORALINK)라는 경구형 펩타이드 전달 플랫폼을 자체 개발하여, 기존 주사제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글로벌 제약사와의 라이선스 협상에서도 강력한 협상 카드로 작용하고 있으며, 자회사 ‘멧세라’를 통해 총 6종의 경구형 치료제를 개발 중입니다. 이 중 일부는 GLP-1/GCG/GIP 삼중 작용제로, 차세대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비만치료제

② 한미약품

  • 대표 파이프라인: 에페글레나타이드 (GLP-1 계열 장기 지속형 비만 치료제)
  • 현재 국내 임상 3상 진행 중, 2027년 출시 기대
  • H.O.P 프로젝트 통해 디지털 치료제와의 융합 전략도 추진

③ 펩트론

펩트론은 지속형 약물전달 플랫폼 ‘SmartDepot™’ 기술을 바탕으로 월 1회 투여 가능한 주사형 GLP-1 치료제를 개발 중입니다. 기존 GLP-1 주사제는 주 1회 혹은 매일 투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펩트론의 기술은 이를 월 1회까지 연장하여 환자의 복약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펩트론은 이미 미국 FDA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획득한 바 있으며, 대장암·파킨슨병 등에도 이 기술을 적용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어 플랫폼 확장성이 뛰어납니다. 향후 기술수출 및 공동개발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기업입니다.

 

비만치료제 대표

④ 인벤티지랩

  • 마이크로플루이딕 기반 장기 지속형 주사제 기술 보유
  • 비임상 데이터 통해 30일 이상 약물 안정성 확보

⑤ 대웅제약

  • GLP-1/GIP 이중 작용제 개발, 경피용 마이크로니들 패치로 주사제 대체 시도
  • 비만 치료제 외에도 당뇨, 대사질환 등 확장 가능성 고려

⑥ 디엑스앤브이엑스(DXVX)

  • 글로벌 기업들과 비만 치료제 기술이전 협상 중
  • IPGTT, PK 시험 등 동물 실험 기반 효능 검증 완료, 2025년 정규 독성시험 예정

⑦ 삼천당제약

  • 개량신약 'SCD0506'으로 경구형 GLP-1 당뇨·비만 치료제 개발
  • 비임상 완료, 임상 진입 준비 중

⑧ 아이큐어

  • 자회사 커서스바이오 통해 항비만 유전자 치료제 개발 중
  • FABP4/5 억제 기반의 플라스미드 DNA 유전자치료제로 지방세포 축적 억제 및 체중감소 효과 입증
  • 국가신약개발사업(KDDF) 선정, 정부 R&D 자금 수혜로 연구 안정성 확보
  • 경구용 GLP-1 계열 비만치료제도 개발 중, 생체이용률 3.62% 이상 확보
  • 셀트리온과 함께 알츠하이머 패치형 신약 글로벌 공급 중, 기술력 및 글로벌 네트워크 강점 보유

비만치료제총정리


✅ 3. 해외 주요 비만 치료제 선도기업

기업명주요 치료제특징

노보 노디스크 위고비(Wegovy), 리벨서스(Rybelsus) 주사형 + 경구형 GLP-1 제품 모두 보유
일라이 릴리 젭바운드(Zepbound), 오포글리프론 오포글리프론: 경구형, 2025년 상용화 기대
바이킹 테라퓨틱스 VK2735 GLP-1 계열, 임상 2상 예정
암젠 마리타이드(Maritide) GLP-1/GIP 이중 작용제, 임상 2상 중

✅ 4. 수급 흐름 및 주가 관전 포인트

  • 디앤디파마텍: 6월 1차 임상 결과 발표 예정, 기술 수출 이슈 부각 시 수급 유입 강세 예상
  • 한미약품: 국내 최선도 임상 진척 종목, 실적·기술 모두 갖춘 종목으로 기관 중심 저점 매수 진행
  • 대웅제약·펩트론: 복수 기전 및 제형 특이성 기반 중기 기대감 형성 중
  • 아이큐어: 유전자 치료제 플랫폼 기반 + 글로벌 네트워크, 정책 수혜 기대감 부각 시 테마 강세 유입

📌 글로벌사 대비 낮은 밸류에이션과 기술 진척 속도에 주목한 선제적 분할매수 전략 유효


✅ 5. 비만치료제 관련주투자 전략

전략 구분 투자 방법 추천 종목
단기 모멘텀 임상 결과 발표 전 매수 디앤디파마텍, DXVX, 아이큐어
중기 저점매수 임상 3상 중/특허 기반 기업 한미약품, 펩트론, 대웅제약
트렌드 선도형 경구제, 플랫폼 기술 보유 디앤디파마텍, 삼천당제약, 아이큐어

✅ 결론: 비만치료제는 장기 트렌드다

비만 치료제는 단발적인 이벤트가 아닌, 장기적인 메가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으며, 제형 변화·기전 다양화·디지털 치료 융합 등 다층적인 기술 경쟁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국내외 주요 종목들의 임상·사업 진척 속도에 따라 테마 수급은 순환 매집형 흐름을 형성하고 있으며, 고RPM 키워드를 기반으로 선별 매매 전략이 유효합니다.

📌 수급시황노트에서는 임상·기술·시장 트렌드를 모두 아우르는 종합적 분석을 통해, 실전 투자에 필요한 전략적 인사이트를 지속 제공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