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도주 시황 분석

시너지이노베이션 상한가 이유

by 수급노트 2025. 4. 16.
반응형
반응형

1. 뉴로바이오젠, 6.5조 규모 美 사이렉스와 글로벌 기술수출…비만·치매 치료제 신약 수혜주 부상

글로벌 기술이전 수혜주 · 바이오 테마주 · 치매치료제 관련주 분석


국내 혁신 신약개발기업 **뉴로바이오젠(비상장)**이
미국 제약사 **사이렉스 바이오(Scilex Bio Inc.)**와
6조5000억 원 규모의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은 **비만 및 알츠하이머 치료용 신약 ‘티솔라질린’**의 글로벌 판권 이전 및 공동개발을 골자로 하며,
선급금 700억 원에 이어 임상 및 판매 마일스톤, 로열티까지 포함한 초대형 기술 수출 딜입니다.

 

시너지이노베이션상한가


1-1. 티솔라질린, 경구용 신약으로 환자 편의성 대폭 향상

  • 작용기전: MAO-B(모노아민 산화효소 B) 억제제, 가역적 기전으로 장기복용 가능
  • 형태: 경구제 (복용형) → 기존 주사형 GLP-1/아밀로이드계 치료제보다 편의성 우위
  • 타깃 질환:
    • 비만 치료제 시장 (2032년 약 135억 달러 규모 전망)
    •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시장 (2038년 약 3,000억 달러 기대)

🔹 현재 미국·한국에서 임상 2a상 진행 중
🔹 미국 IND(임상시험계획) 제출은 올 하반기 예정


1-2. 사이렉스와의 협력 포인트

항목설명
계약 주체 뉴로바이오젠 ↔ 사이렉스 바이오(美)
지분 구조 사이렉스 홀딩스(SCLX)가 설립한 합작사
권리 범위 한국 제외 전 세계 판권, 상업화 및 생산 포함
진행 상황 한국 임상은 뉴로바이오젠이 직접 진행, 미국 임상 협업

💬 사이렉스는 현재 비오피오이드 진통제 및 중추신경계(CNS) 치료제 상업화에 성공한 경험 보유


1-3. 투자자 관점 주요 포인트 정리

  • 기술 수출 규모가 6.5조원 → 코스닥 시총 상위 수준의 계약 규모
  • 경구용 비만 치료제라는 차별화된 경쟁력 → 기존 GLP-1 약물 대비 편의성·효과성 확보
  • 알츠하이머 신약은 정부 및 글로벌 빅파마 관심 집중 영역 → 장기적 수혜 기대
  • 사이렉스 지분 취득도 논의 중 → 향후 글로벌 제약 시장 본격 진출 신호

 

뉴로바이오젠관련주

 

1-4. 수급브리핑 코멘트

"GLP-1 계열에 집중되던 비만 치료제 시장이 경구형 MAO-B 억제제라는
새로운 게임체인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비만과 치매, 두 시장을 동시에 타깃으로 하는 티솔라질린은
뉴로바이오젠을 바이오 수급 테마의 핵심 축으로 올릴 가능성이 큽니다."


📌 주식 상장사 중 연관된 수혜주는?

관련주포인트
HLB그룹 다수 글로벌 라이선스 경험, 바이오 테마 선도
제넥신 면역치료제·비만 신약 연구 중
삼성바이오로직스 위탁생산(CMO) 가능성 기대
에이비엘바이오 CNS 분야 치료제 보유

향후 뉴로바이오젠이 상장 준비 단계에 진입할 경우
기술특례 상장 수혜 기대도 있으며,
이번 계약은 신약개발주 전반의 모멘텀 강화로 확산될 수 있는
중요한 바이오 이슈입니다.

 

 

 

 

시너지이노베이션

 

 

 

 

2. 시너지이노베이션, 뉴로바이오젠 최대주주로 떠오른 이유는?

신약 파이프라인·지분 구조 분석으로 본 바이오 수급주 집중 탐색


최근 뉴로바이오젠의 비만·치매 치료제 글로벌 기술수출(6.5조 원 규모) 소식이 전해지며,
예상 밖의 종목 하나가 시장의 중심에 섰습니다.
바로 **시너지이노베이션(048870)**입니다.

뉴로바이오젠의 지분을 대규모로 보유한 최대주주로서,
신약 수출 성공에 따른 수혜 기대감이 주가에 선반영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그렇다면 시너지이노베이션은 왜, 어떻게 뉴로바이오젠과 긴밀한 지분 관계를 갖게 된 걸까요?


2-1. 시너지이노베이션과 뉴로바이오젠의 관계

▶️ 2019년, 전환사채 투자로 첫 연결

시너지이노베이션은 2019년 11월,
신약 파이프라인 확보 및 바이오 사업 진출을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비상장 바이오기업 뉴로바이오젠에 전환사채(CB) 형태의 투자를 단행했습니다.

이 당시 시너지는 신성장 동력 발굴, 뉴로바이오젠은 임상·개발 자금 유치라는
윈윈 구조를 원했습니다.


▶️ 전환권 행사 → 최대주주로 등극

CB 투자 이후, 시너지이노베이션은 보유 전환사채를 보통주로 전환하며
뉴로바이오젠의 지분 55.6%를 확보, 최대주주 지위에 올랐습니다.

여기에 특수관계인(관계사 및 오너 측) 지분까지 포함하면
**전체 지분율은 무려 93.7%**에 달하며,
사실상 지배회사 수준의 경영권을 확보한 구조가 되었습니다.


2-2. 지분 구조로 본 투자 포인트 요약

항목내용
투자 시기 2019년 11월 (전환사채 인수)
전환 방식 CB → 보통주 전환
현재 지분율 55.6% (단독 기준) / 93.7% (특수관계인 포함)
기업 간 관계 뉴로바이오젠은 시너지이노베이션의 핵심 자회사
투자 목적 신약 파이프라인 공동개발 + 상장 시 엑시트 기반

2-3. 시너지이노베이션 주가 급등 배경

  • 뉴로바이오젠이 미국 사이렉스 바이오와 6.5조 원 규모의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체결
  • 비만 치료제 + 치매 치료제 이중 타깃 파이프라인 확보
  • 뉴로바이오젠은 현재 비상장 상태지만,
    그 지분 대부분을 보유한 시너지이노베이션이
    사실상 수혜의 직접 수취 대상이 된 셈입니다.

📌 이에 따라 시너지이노베이션은 4월 16일 기준 상한가를 기록하며
바이오 수급주의 주도주로 급부상했습니다.

 

 

🏁 수급브리핑 요약 정리

“뉴로바이오젠은 비상장이지만, 시너지이노베이션은 상장사입니다.
이 구조 자체가 투자자들에게 숨겨진 수혜주로서의 가치를 부여합니다.
향후 뉴로바이오젠의 상장 혹은 신약 상업화 진척에 따라
**시너지이노베이션의 중장기 재평가 가능성은 상당히 높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