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도주 & 시황 브리핑

비에이치, 1,631억 규모 LNG 복합화력 발전설비 수출 계약 체결…흑자 전환 전망

by 재테크노트 2025. 4. 23.
반응형

1. 공시 요약: 1,631억 원 규모 해외 수주 계약

비에이히(090460)는 2025년 4월 22일, 총 1,631억 원 규모의 LNG 복합화력 발전설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이 계약은 자사의 2024년 매출(약 4,047억 원)의 40.3%에 달하는 대형 수주로, 향후 실적 개선 및 수출 확대 측면에서 중요한 이벤트입니다.

  • 계약상대방: PSP, PCI, PC로 구성된 조인트벤처
    (ELSEWEDY ELECTRIC POWER SYSTEMS, POWERCHINA INTERNATIONAL, POWER CONSTRUCTION CORP OF CHINA)
  • 계약금액: USD 115,000,000 (한화 약 1,631.7억 원)
  • 공급지역: 국외
  • 계약기간: 2025년 4월 22일 ~ 2027년 2월 18일
  • 선금 수령 계획: USD 17,250,000 (계약금의 15%)를 2025년 6월 수령 예정

비에이치 수주


2. 수혜 분석: 글로벌 EPC 네트워크를 통한 해외 성장 동력 확보

이번 계약은 단순한 수출 이상의 전략적 의미를 가집니다. 특히 계약 상대방이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전력 시장에 강한 영향력을 가진 글로벌 EPC 기업들이라는 점에서 비에이치의 중장기 수출 동력 확대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ELSEWEDY: 중동지역 전력 인프라 구축 전문
  • POWERCHINA: 중국 국영 EPC 기업, 글로벌 대형 플랜트 수주 경험 풍부

해외 EPC와의 협력은 향후 다양한 인프라 프로젝트 입찰 참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전력·에너지 인프라 수요 증가세에 대응하는 전략적 확장이 기대됩니다.

 

반응형

3. 실적 전망과 투자 포인트

🔍 단기 실적 전망: 2분기 흑자 전환 기대

대신증권 리포트(2025.04.23)에 따르면 비에이치는 1분기 적자(-142억 원)에서 벗어나, 2분기 영업이익 282억 원 흑자전환이 예상됩니다. 아이폰17 선행 생산에 따른 R/F 매출 증가와 이 계약 선금 유입이 긍정적 영향을 줄 전망입니다.

💡 중장기 투자 포인트

  1. 밸류에이션 매력
    • 2025년 예상 P/E: 5.3배
    • P/B: 0.5배 (역사적 저점 수준)
  2. 성장 모멘텀
    • HDI(고밀도 기판) 및 차량용 무선충전기 매출 비중 확대
    • 글로벌 EPC 네트워크 확보에 따른 장기 수주 확대 가능성
  3. 기대 수주 파이프라인 확대
    • 이번 수주는 향후 중동·아프리카·동남아 등 인프라 집중지역 대상 추가 수주의 신호탄으로 해석 가능

 

비에이치 주가


4. 향후 주가 흐름 전망

현재 주가는 12,290원(2025.04.22 기준)으로, 대신증권은 목표주가를 20,000원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익 개선, 해외 수주 확대, 저평가 매력 등을 감안할 때, 주가 저점 매수 전략이 유효할 수 있습니다.


5. 요약

항목내용
계약명 LNG 복합화력 발전설비 공급 계약
계약금액 1,631억 원 (USD 1.15억)
매출 대비 비중 약 40.3%
계약기간 2025.04.22 ~ 2027.02.18
주요 포인트 글로벌 EPC 조인트벤처와 계약, 수출 확대 신호
실적 전망 2Q25 흑자전환, 연간 영업익 882억 예상
밸류에이션 2025F P/E 5.3배, P/B 0.5배

 

비에이치 전망


🎯 결론: "해외 EPC 수출 수혜 + 저평가 = 저점 매수 기회"

비에이치는 이번 대형 계약으로 실적 회복 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 확장이라는 전략적 전환점에 도달했습니다. 특히 글로벌 EPC와의 협업은 향후 수주 레버리지 효과를 통해 기업가치 재평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해외 플랜트, 에너지 인프라 확대 국면에서의 수혜주로 관심을 가져볼 시점입니다.

 

 

 

2025.04.15 - [주도주 브리핑] - 알래스카 LNG 관련주

 

알래스카 LNG 관련주

2025년 4월, 미국과 한국 사이의 통상 마찰이 다시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 부과 선언 이후 한국은 비상 대응 체제에 돌입했으며, 알래스카 LNG

gdolgdol33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