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쇼어링(Reshoring) 개념 설명
**리쇼어링(Reshoring)**이란 기업이 비용 절감이나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해외로 이전했던 생산시설이나 제조 공정을 다시 본국으로 되돌리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오프쇼어링(Offshoring)**의 반대 개념입니다.

리쇼어링이 발생하는 이유
리쇼어링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비용 절감 기대
• 과거에는 인건비가 저렴한 국가(예: 중국, 동남아)로 공장을 이전했지만, 최근에는 해외 생산비용 증가(인건비 상승, 물류비 증가)로 인해 본국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 자동화 및 로봇 기술 발전으로 노동비 절감 효과가 커지면서 굳이 해외로 나갈 필요가 줄어들었습니다.
2. 공급망 리스크 완화
• 글로벌 공급망 불안(예: 코로나19,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해 안정적인 생산과 물류 확보가 중요해졌습니다.
• 특히 반도체, 배터리 등 전략 산업에서는 국내 생산을 통한 자급률 향상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3. 정부 지원 정책
•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은 자국 내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세제 혜택이나 보조금 지원 등의 리쇼어링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대표적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법(CHIPS Act)*이 있으며, 한국도 국내 복귀 기업 지원제도를 운영 중입니다.
4. 브랜드 가치 및 품질 관리
• “Made in USA” 또는 “Made in Korea” 등의 브랜드 가치를 활용해 고품질 이미지를 강조하려는 전략도 리쇼어링을 촉진하는 요인입니다.
• 또한 해외 생산보다 본국에서 제조하는 것이 품질 관리나 지적 재산권 보호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리쇼어링의 대표 사례
1. 애플(Apple)
• 미국 내 제조업 부활을 목표로 맥 프로(Mac Pro) 일부 생산라인을 미국으로 이전
• 공급망 안정과 제조 기술 혁신을 위한 투자 확대
2. 삼성전자 & TSMC
• 반도체 공급망 강화를 위해 미국에 반도체 공장 설립
• 미국 정부의 보조금 혜택을 활용하여 투자 확대
3. GM(General Motors)
• 전기차 및 배터리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복귀
• 바이 아메리칸(Buy American) 정책에 대응하여 국내 생산 확대
리쇼어링의 장단점
✅ 장점
• 국내 일자리 창출 및 경제 활성화
• 공급망 안정성과 생산 관리 용이
• 정부 지원 정책을 통한 혜택 가능
❌ 단점
• 본국 생산 비용이 여전히 높을 수 있음
• 기존 해외 시설 철수 비용 부담
• 단기적으로 생산라인 구축 및 기술 확보가 필요
결론
리쇼어링은 단순한 기업 전략을 넘어 국가 경제와 산업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는 흐름입니다. 특히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핵심 산업에서 리쇼어링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으며, 미·중 패권 경쟁과 공급망 재편과 맞물려 앞으로도 중요한 이슈가 될 전망입니다.
리쇼어링 관련주
리쇼어링(Reshoring)은 해외로 이전했던 생산시설이나 제조 공정을 다시 본국으로 되돌리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흐름은 관련 산업과 기업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로봇·자동화, 산업 자재, 반도체, 전력 인프라 등 분야에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래는 리쇼어링과 관련된 주요 기업들을 분야별로 정리한 목록입니다.
로봇·자동화 관련 기업
• 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 ROK): 산업 자동화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리쇼어링으로 인한 제조업체들의 자동화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에머슨 일렉트릭(Emerson Electric, EMR):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과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며,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Keysight Technologies, KEYS): 전자 측정 기기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자동화 및 테스트 장비 수요 증가에 따라 주목받고 있습니다. 
산업 자재 및 유통 관련 기업
• 패스널 컴퍼니(Fastenal Company, FAST): 산업용 자재 유통 회사로, 볼트와 너트 등 다양한 산업용 제품을 공급하며, 리쇼어링으로 인한 제조업체들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WW 그레인저(WW Grainger, GWW): 유지보수, 수리 및 운영(MRO) 제품을 제공하는 유통업체로, 미국 내 제조업체들의 활동 증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반도체 및 기술 관련 기업
• 인텔(Intel Corporation, INTC): 미국 내 반도체 생산 능력 강화를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오하이오주와 애리조나주에 새로운 제조 시설을 건설하고 있습니다. 
•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 GE): 항공우주 및 전력 부문에서 생산 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등 리쇼어링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전력 인프라 및 에너지 관련 기업
• LS: 전선 제조업체인 LS전선 등을 자회사로 보유한 지주회사로, 전력 인프라 투자 증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 대한전선: 초고압케이블, 통신케이블 등을 생산하는 전선 제조업체로, 전력망 투자 확대에 따라 주목받고 있습니다. 
건설 및 인프라 관련 기업
• 제이콥스(Jacobs Engineering Group, J): 공정 전문 디자인업체로, 반도체 및 제약업체들의 시설 건설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하고 있습니다. 
• 스틸 다이내믹스(Steel Dynamics, STLD): 철강 제조업체로, 미국 내 제조업 활성화에 따른 철강 수요 증가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융 및 지역은행
• 헌팅턴 뱅크셰어스(Huntington Bancshares, HBAN): 오하이오주에 본사를 둔 지역은행으로, 리쇼어링으로 인한 제조업체들의 자금 수요 증가에 따라 융자 사업 활성화가 기대됩니다. 
• 키코프(KeyCorp, KEY): 미국 중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은행으로, 제조업 부활에 따른 금융 서비스 수요 증가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이러한 기업들은 리쇼어링 트렌드에 따라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투자 결정 시에는 각 기업의 최신 동향과 재무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주도주 & 시황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중국양회 관련주 (2) | 2025.03.03 |
---|---|
mwc 관련주 (1) | 2025.03.03 |
한국 알루미늄 관세 부과 (2) | 2025.02.28 |
중국의 원자력 발전과 AI (3) | 2025.02.28 |
엔비디아 급락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