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4월 29일, 두산에너빌리티가 캐나다 중수로 원전 전문기업 캔두에너지(Candu Energy)와 원자력 사업 협력을 위한 우선공급자 협약(Preferred Vendor Agreement)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 협약은 단순한 공급계약을 넘어 글로벌 중수로 원전 생태계에서 두산의 위상이 높아졌음을 의미하며, 향후 신규 원전 수주와 장기 정비사업(LTS) 확대의 신호탄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1. 두산에너빌리티-캔두에너지 협약의 핵심 내용
- 협약 명칭: 우선공급자 협약 (Preferred Vendor Agreement)
- 협약 대상 기업: 캐나다 캔두에너지(Candu Energy Inc.)
- 선정 기업 수: 전 세계 2,000여 협력사 중 9개사만 선정
- 이 중 비(非)캐나다 기업은 두산에너빌리티가 유일
- 협약 범위: 캔두 중수로 원전의 설계, 제작, 설치, 시운전, 유지보수 등 원전 전주기
- 향후 확장 가능성: 신형 원자로 ‘캔두 모나크(Candu Monark)’ 공급망 참여 가능성
2. 캔두에너지란 어떤 회사인가?
- 소속: 캐나다 SNC-라발린 그룹
- 전문 분야: 중수로 원자로(CANDU)의 설계 및 공급, 운영 유지보수
- 글로벌 실적:
- 현재 세계적으로 31기 운전 중 (한국, 루마니아, 중국, 아르헨티나 등)
- 신기술: 2023년 CANDU Monark(1000MW급) 공개, 신형 대형 원자로 개발 박차
👉 두산에너빌리티는 캔두에너지의 파트너로서 기자재·설비 공급뿐 아니라, 신규 원전 시장 진입의 기회를 확보하게 됩니다.
3. 두산에너빌리티의 중수로 실적과 의미
연도프로젝트수주 내용
2023 |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1호기 | 피더관 공급 계약 체결 |
2023 | 캐나다 피커링 B 원전 | 4개 호기 피더관 수주 |
- 피더관(Feeder Pipe): 중수로 원자로에서 연료 채널과 연결되는 핵심 부품으로, 정밀 가공 기술이 필수
- 중수로 생태계 내 핵심 부품 공급사로 입지 강화
💡 핵심 포인트: 피커링 B, 체르나보다 등 실제 운영 중인 중수로 원전에 기자재를 납품한 경험은 신규 원전 프로젝트에서도 신뢰의 기반이 됩니다.
4. 중수로 원전 시장 확대와 투자 기회
글로벌 중수로 트렌드
- 중수로는 천연 우라늄 사용 가능, 우라늄 농축 필요 없어 에너지 자립도에 유리
- 폐연료 재처리 용이, 가동 후 핵연료 재사용 가능
- ESG와 탄소중립 시대에 ‘지속가능한 원자력 발전소’로 다시 주목받는 중
캐나다와 루마니아, 신규 사업도 탄력
- 캐나다: 피커링 원전 수명 연장 결정 → 대규모 기자재 수요 발생 예상
- 루마니아: EU의 탄소 감축 목표에 따라 노후 원전 리노베이션 및 신규 건설
- 다른 캔두 사용국: 중국·아르헨티나 등도 보수 수요 지속
5.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전망 및 투자 포인트
🔎 투자 포인트 요약
구분내용
🔧 공급망 확대 | 중수로 부품 → 전체 원전 생애주기 참여 |
🌍 글로벌 시장 | 피커링, 체르나보다, 모나크 신규 건설 등 연쇄 수혜 |
🏭 국내 경쟁력 | 국산 원전 기술(KHNP, 한전기술)과의 시너지 |
💵 수주 모멘텀 | 2025~2027년 본격화되는 수주공시 가능성 |
📊 주가 흐름과 수급 체크
- 최근 기관 및 연기금 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
- 에너지 대전환 흐름 속 탈탄소 정책 수혜주로 분류
- 중장기 보유 시 신규 원전 수주 공시 및 정책 발표에 따라 탄력 기대
6. 마무리: ‘비캐나다 기업 유일’이라는 상징적 지위
두산에너빌리티는 2025년 현재, 중수로 원전 분야에서 글로벌 Top Tier 공급사로 입지를 다지고 있는 중입니다. 이번 캔두에너지와의 협약은 그동안 축적한 기자재 생산 기술과 프로젝트 수행 경험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 중수로 원전은 단순한 에너지 기술이 아닌,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를 위한 전략 산업입니다. 향후 신규 수주, 정비 계약 확대, 해외 진출 가속화 등을 통해 두산에너빌리티 주가는 중장기적으로 재평가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
'주도주 브리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래프톤, 1분기 사상 최대 실적 달성! 매출·영업익 대폭 상승 분석 (2) | 2025.04.29 |
---|---|
트럼프 관세 수입 역대 최고치 돌파! 수출株는 위기, 수혜주는 어디? (4) | 2025.04.29 |
저출산 관련주 총정리|정부 육아·보육 예산 확대 수혜주는? (3) | 2025.04.29 |
LS전선 미국 공장 착공 완료! 해저케이블 시장 독점 노린다 (1) | 2025.04.29 |
iM금융지주, 호실적에 52주 신고가 돌파! 주가 전망은? (1) | 2025.04.29 |